자주 묻는 질문
이 섹션에서는 주요 분야에 걸쳐 자주 묻는 질문을 살펴보고, 여러분의 라이프스타일 선택이 개인 건강, 지구, 그리고 동물 복지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이해하실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FAQ를 살펴보고 정보에 기반한 결정을 내리고 긍정적인 변화를 향한 의미 있는 발걸음을 내딛어 보세요.
건강 및 라이프스타일 FAQ
식물성 식단이 건강과 활력을 증진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간단한 팁과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알아보세요.
지구와 사람에 대한 FAQ
당신의 음식 선택이 지구와 전 세계 지역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세요. 오늘 정보에 기반하고 배려하는 결정을 내리세요.
동물과 윤리 FAQ
당신의 선택이 동물과 윤리적인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세요. 궁금한 점에 대한 답을 얻고 더 나은 세상을 위한 행동에 동참하세요.
건강 및 라이프스타일 FAQ
비건이 되는 것은 건강한가요?
건강한 비건 식단은 과일, 채소, 콩류(두류), 통곡물, 견과류, 씨앗류를 기반으로 합니다. 제대로 섭취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식품은 본래 포화지방이 낮고, 콜레스테롤, 동물성 단백질, 호르몬이 전혀 들어 있지 않아 심장병, 당뇨병, 특정 암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임신과 모유 수유부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심지어 운동선수까지 인생의 모든 단계에 필요한 필수 영양소를 모두 공급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주요 영양학회는 잘 계획된 채식주의 식단이 장기적으로 안전하고 건강하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핵심은 균형과 다양성입니다. 다양한 식물성 식품을 섭취하고 비타민 B12, 비타민 D, 칼슘, 철분, 오메가-3, 아연, 요오드와 같은 영양소를 주의 깊게 섭취하세요.
참고자료:
- 영양 및 식이요법 아카데미(2025)
입장 문서: 성인을 위한 채식 식단 패턴 - Wang, Y. et al. (2023)
식물성 식단 패턴과 만성 질환 위험 간의 연관성 - Viroli, G. et al. (2023)
식물성 식단의 이점과 장벽 탐구
채식주의는 너무 극단적이지 않나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친절과 비폭력이 "극단적"이라고 여겨진다면, 수십억 마리의 겁에 질린 동물들이 학살당하고 생태계가 파괴되며 인간의 건강에 해를 끼치는 것을 어떤 단어로 설명할 수 있겠습니까?
비건은 극단주의가 아닙니다. 연민, 지속가능성, 그리고 정의에 부합하는 선택을 하는 것입니다. 식물성 식품을 선택하는 것은 고통과 환경 피해를 줄이는 실용적이고 일상적인 방법입니다. 급진적인 것이 아니라, 시급한 세계적 과제에 대한 합리적이고 매우 인간적인 대응입니다.
균형 잡힌 채식주의 식단은 인간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균형 잡힌 통곡물 비건 식단은 전반적인 건강과 웰빙에 매우 유익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식단은 심장병, 뇌졸중, 특정 유형의 암, 비만, 제2형 당뇨병과 같은 주요 만성 질환의 위험을 크게 줄이는 동시에 더 오래 건강하게 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잘 계획된 비건 식단은 섬유질, 항산화제,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고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심혈관 건강 개선, 체중 관리 개선,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예방 강화에 기여합니다.
오늘날, 점점 더 많은 영양학자와 건강 전문가들이 동물성 제품의 과도한 섭취가 심각한 건강 위험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를 인식하고 있으며, 식물성 식단은 인생의 모든 단계에 필요한 모든 필수 영양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비건 식단의 과학적 원리와 건강상의 이점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여기를 클릭하여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참고자료:
- 영양학 및 식이요법 아카데미(2025)
입장 문서: 성인을 위한 채식 식단 패턴
https://www.jandonline.org/article/S2212-2672(25)00042-5/fulltext - Wang, Y. 외 (2023)
식물성 식단 패턴과 만성 질환 위험 간의 연관성
https://nutritionj.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12937-023-00877-2 - Melina, V., Craig, W., Levin, S. (2016)
영양학 및 식이요법 아카데미의 입장: 채식 식단
https://pubmed.ncbi.nlm.nih.gov/27886704/
비건들은 단백질을 어디서 얻을까요?
수십 년간의 마케팅을 통해 우리는 끊임없이 더 많은 단백질이 필요하며 동물성 식품이 최고의 단백질 공급원이라고 확신해 왔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입니다.
다양한 채식주의 식단을 따르고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한다면 단백질은 결코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평균적으로 남성은 매일 약 55g, 여성은 약 45g의 단백질이 필요합니다.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콩류: 렌즈콩, 콩, 병아리콩, 완두콩, 대두
- 견과류와 씨앗
- 통곡물: 통밀빵, 통밀 파스타, 현미
쉽게 설명하자면, 큰 접시의 두부 한 접시만 먹어도 하루에 필요한 단백질의 절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미국 농무부(USDA) - 2020~2025년 식이 지침
https://www.dietaryguidelines.gov - Melina, V., Craig, W., Levin, S. (2016)
영양학 및 식이요법 아카데미의 입장: 채식 식단
https://pubmed.ncbi.nlm.nih.gov/27886704/
고기를 먹지 않으면 빈혈이 생길까요?
아니요. 고기를 끊는다고 해서 저절로 빈혈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잘 계획된 비건 식단은 몸에 필요한 철분을 충분히 공급해 줄 수 있습니다.
철분은 몸 전체에 산소를 운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미네랄입니다. 적혈구의 헤모글로빈과 근육의 미오글로빈의 주요 구성 요소이며, 신체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여러 중요한 효소와 단백질의 구성 요소이기도 합니다.
얼마나 많은 철분이 필요합니까?
남성(18세 이상): 하루 약 8mg
여성(19~50세): 하루 약 14mg
여성(50세 이상): 하루 약 8.7mg
가임기 여성은 월경 중 출혈로 인해 더 많은 철분이 필요합니다. 생리량이 많은 여성은 철분 결핍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보충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비건 여성뿐만 아니라 모든 여성
다음과 같은 다양한 철분이 풍부한 식물성 식품을 섭취하면 일일 철분 요구량을 쉽게 충족할 수 있습니다.
통곡물: 퀴노아, 통밀 파스타, 통밀 빵
강화식품: 철분이 강화된 아침 시리얼
콩류: 렌즈콩, 병아리콩, 팥, 구운 콩, 템페(발효 콩), 두부, 완두콩
씨앗: 호박씨, 참깨, 타히니(참깨 페이스트)
말린 과일: 살구, 무화과, 건포도
해초: 김과 기타 식용 해초류
짙은 녹색 잎채소: 케일, 시금치, 브로콜리
식물에 함유된 철분(비헴철)은 비타민 C가 풍부한 음식과 함께 섭취하면 더 효과적으로 흡수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토마토 소스를 곁들인 렌즈콩
브로콜리와 고추를 넣은 두부 볶음
딸기나 키위를 곁들인 오트밀
균형 잡힌 비건 식단은 신체에 필요한 철분을 충분히 공급하고 빈혈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핵심은 다양한 식물성 식품을 섭취하고 비타민 C와 함께 섭취하여 흡수율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
참고자료:
- Melina, V., Craig, W., Levin, S. (2016)
영양학 및 식이요법 아카데미의 입장: 채식 식단
https://pubmed.ncbi.nlm.nih.gov/27886704/ - 미국 국립보건원(NIH) - 식이보충제 사무국(2024년 업데이트)
https://ods.od.nih.gov/factsheets/Iron-Consumer/ - Mariotti, F., Gardner, CD (2019)
채식주의 식단의 식이 단백질 및 아미노산 - 리뷰
https://pubmed.ncbi.nlm.nih.gov/31690027/
고기를 먹으면 암이 생길 수 있나요?
네, 연구에 따르면 특정 종류의 육류 섭취는 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소시지, 베이컨, 햄, 살라미와 같은 가공육을 인간 발암 물질(1군)로 분류합니다. 즉, 이러한 육류가 암, 특히 대장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와 같은 붉은 고기는 발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류됩니다(2A군). 즉, 과다 섭취가 암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육류 섭취량과 빈도가 증가할수록 위험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잠재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요리 중 생성되는 헤테로고리아민(HCA)과 다환방향족 탄화수소(PAH) 등의 화합물은 DNA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 가공육에는 신체에서 해로운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질산염과 아질산염이 들어 있습니다.
- 일부 육류에는 포화지방이 많이 들어 있는데, 이는 염증 및 기타 암을 촉진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과일, 채소, 통곡물, 콩류, 견과류, 씨앗 등 식물성 식품이 풍부한 식단에는 섬유질, 항산화제, 식물 화학 물질과 같은 보호 성분이 들어 있어 암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식단과 암의 연관성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여기를 클릭하여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참고자료:
- 세계보건기구, 국제암연구소(IARC, 2015)
붉은 고기와 가공육 섭취의 발암성
https://www.who.int/news-room/questions-and-answers/item/cancer-carcinogenicity-of-the-consumption-of-red-meat-and-processed-meat - Bouvard, V., Loomis, D., Guyton, KZ, et al. (2015)
붉은 고기와 가공육 섭취의 발암성
https://www.thelancet.com/journals/lanonc/article/PIIS1470-2045(15)00444-1/fulltext - 세계 암 연구 기금/미국 암 연구소(WCRF/AICR, 2018)
식단, 영양, 신체 활동 및 암: 전 세계적 관점
https://www.wcrf.org/wp-content/uploads/2024/11/Summary-of-Third-Expert-Report-2018.pdf
건강한 채식 식단이 만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역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네. 과일, 채소, 통곡물, 콩류, 견과류, 씨앗류가 풍부한 잘 계획된 비건 식단을 따르는 사람들은 여러 만성 질환으로부터 가장 큰 보호 효과를 경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식단은 다음과 같은 질환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비만
- 심장병과 뇌졸중
- 2형 당뇨병
- 고혈압(고혈압)
- 대사증후군
- 특정 유형의 암
실제로, 건강한 채식주의 식단을 채택하면 일부 만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전시키고 전반적인 건강, 에너지 수준, 수명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참고자료:
- 미국 심장 협회(AHA, 2023)
식물성 식단은 중년 성인의 일반 인구에서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 심혈관 질환 사망률 및 전체 사망률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https://www.ahajournals.org/doi/10.1161/JAHA.119.012865 - 미국 당뇨병 협회(ADA, 2022)
당뇨병 또는 전당뇨병이 있는 성인을 위한 영양 요법
https://diabetesjournals.org/care/article/45/Supplement_1/S125/138915/Nutrition-Therapy-for-Adults-With-Diabetes-or - 세계 암 연구 기금/미국 암 연구소(WCRF/AICR, 2018)
식단, 영양, 신체 활동 및 암: 전 세계적 관점
https://www.wcrf.org/wp-content/uploads/2024/11/Summary-of-Third-Expert-Report-2018.pdf - Ornish, D. 외 (2018)
관상동맥 심장병 역전을 위한 집중적인 생활 습관 변화
https://pubmed.ncbi.nlm.nih.gov/9863851/
비건 식단으로 충분한 아미노산을 섭취할 수 있을까요?
네. 잘 계획된 비건 식단은 신체에 필요한 모든 아미노산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구성 요소로, 모든 체세포의 성장, 회복,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아미노산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신체에서 생성할 수 없어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는 필수 아미노산과 신체가 스스로 생성할 수 있는 비필수 아미노산입니다. 성인은 식단에서 필수 아미노산 9종과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비필수 아미노산 12종을 섭취해야 합니다.
단백질은 모든 식물성 식품에 들어 있으며, 가장 좋은 단백질 공급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콩류: 렌즈콩, 콩, 완두콩, 병아리콩, 두부, 템페와 같은 콩 제품
- 견과류 및 씨앗류: 아몬드, 호두, 호박씨, 치아씨드
- 통곡물: 퀴노아, 현미, 귀리, 통밀빵
하루 종일 다양한 식물성 식품을 섭취하면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섭취할 수 있습니다. 매 끼니마다 여러 종류의 식물성 단백질을 함께 섭취할 필요는 없습니다. 신체는 섭취하는 다양한 종류의 아미노산을 저장하고 균형을 맞추는 아미노산 '풀'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보완적인 단백질을 결합하는 것은 여러 식사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콩을 토스트에 곁들인 경우입니다. 콩은 라이신 함량이 높지만 메티오닌 함량은 낮고, 빵은 메티오닌 함량이 높지만 라이신 함량은 낮습니다. 이 두 가지를 함께 섭취하면 완전한 아미노산 프로필을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낮 동안 따로 섭취하더라도 신체는 필요한 모든 것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참고자료:
- Healthline (2020)
비건 완전 단백질: 13가지 식물성 옵션
https://www.healthline.com/nutrition/complete-protein-for-vegans - 클리블랜드 클리닉(2021)
아미노산: 이점 및 식품 공급원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articles/22243-amino-acids - Verywell Health (2022)
불완전 단백질: 중요한 영양가인가, 아니면 우려할 만한가?
https://www.verywellhealth.com/incomplete-protein-8612939 - Verywell Health (2022)
불완전 단백질: 중요한 영양가인가, 아니면 우려할 만한가?
https://www.verywellhealth.com/incomplete-protein-8612939
비건들은 충분한 비타민 B12를 섭취하는 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있나요?
비타민 B12는 건강에 필수적이며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건강한 신경 세포 유지
- 적혈구 생성 지원(엽산과 함께)
- 면역 기능 강화
- 기분과 인지 건강 지원
비건 채식주의자는 식물성 식품에는 비타민 B12가 충분히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타민 B12를 정기적으로 섭취해야 합니다. 최신 전문가 권장량은 하루 50마이크로그램 또는 주 2,000마이크로그램입니다.
비타민 B12는 토양과 물 속 박테리아에 의해 자연적으로 생성됩니다. 역사적으로 인간과 가축은 박테리아에 오염된 식품에서 비타민 B12를 섭취해 왔습니다. 그러나 현대 식품 생산은 고도로 위생적으로 관리되어 천연 공급원을 더 이상 신뢰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동물성 식품에는 B12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사육된 동물에게 B12를 보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육류나 유제품에 의존할 필요가 없습니다. 비건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B12 필요량을 안전하게 충족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으로 B12 보충제를 섭취하세요
- 식물성 우유, 아침 시리얼, 영양 효모 등 비타민 B12 강화 식품 섭취
적절한 보충제를 섭취하면, B12 결핍증은 쉽게 예방할 수 있으며, 결핍증과 관련된 건강 위험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참고자료:
- 미국 국립보건원(NIH) - 식이보충제국(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2025). 의료 전문가를 위한 비타민 B₁₂ 자료표. 미국 보건복지부.
https://ods.od.nih.gov/factsheets/VitaminB12-HealthProfessional/ - Niklewicz, Agnieszka, Pawlak, Rachel, Płudowski, Paweł 등. (2022). 식물성 식단을 선택하는 개인을 위한 비타민 B₁₂의 중요성. 영양소, 14(7), 1389.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030528/ - Niklewicz, Agnieszka, Pawlak, Rachel, Płudowski, Paweł 등. (2022). 식물성 식단을 선택하는 개인을 위한 비타민 B₁₂의 중요성. 영양소, 14(7), 1389.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030528/ - Hannibal, Luciana, Warren, Martin J., Owen, P. Julian 외 (2023). 식물성 식단을 선택하는 개인에게 비타민 B₁₂의 중요성. 유럽 영양학 저널.
https://pure.ulster.ac.uk/files/114592881/s00394_022_03025_4.pdf - 비건 협회(The Vegan Society). (2025). 비타민 B₁₂. 비건 협회에서 발췌.
https://www.vegansociety.com/resources/nutrition-and-health/nutrients/vitamin-b12
식물성 식단에서 충분한 칼슘을 섭취하려면 유제품이 필요합니까?
아니요, 칼슘 필요량을 충족하기 위해 유제품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다양한 식물성 식단만으로도 신체에 필요한 칼슘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전 세계 인구의 70% 이상이 유당 불내증으로, 우유에 함유된 당분을 소화하지 못합니다. 이는 건강한 뼈를 위해 유제품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우유를 소화하면 체내에 산이 생성된다는 점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산을 중화하기 위해 신체는 인산칼슘 완충액을 사용하는데, 이 완충액은 종종 뼈에서 칼슘을 흡수합니다. 이 과정은 유제품에 함유된 칼슘의 유효 생체이용률을 감소시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칼슘은 뼈에만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신체 칼슘의 99%는 뼈에 저장되어 있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필수적입니다.
근육 기능
신경 전달
세포 신호 전달
호르몬 생성
몸에 비타민 D가 충분하면 칼슘이 가장 잘 흡수됩니다. 비타민 D가 부족하면 아무리 많은 칼슘을 섭취하더라도 칼슘 흡수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성인은 일반적으로 하루에 약 700mg의 칼슘이 필요합니다. 식물성 칼슘 공급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두부(황산칼슘으로 만든)
참깨와 타히니
아몬드
케일과 기타 짙은 녹색 잎채소
강화된 식물성 우유와 아침 시리얼
말린 무화과
템페(발효된 콩)
통밀빵
구운 콩 요리
버터넛 스쿼시와 오렌지
잘 계획된 채식 식단을 통해 유제품을 섭취하지 않고도 튼튼한 뼈와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참고자료:
- Bickelmann, Franziska V.; 라이츠만, 마이클 F.; 켈러, 마커스; Baurecht, Hansjörg; 요헴, 카르멘. (2022). 완전 채식 및 채식주의 식단의 칼슘 섭취량: 체계적인 검토 및 메타 분석. 식품 과학 및 영양에 대한 비판적 리뷰.
https://pubmed.ncbi.nlm.nih.gov/38054787 - Muleya, M. 외 (2024). 25가지 식물성 제품의 생체 이용 가능한 칼슘 함량 비교.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63996923013431 - Torfadóttir, Jóhanna E.; 외 (2023). 칼슘 - 북유럽 영양학에 대한 범위 검토. 식품영양연구.
https://foodandnutritionresearch.net/index.php/fnr/article/view/10303 - VeganHealth.org (잭 노리스, 공인 영양사). 비건을 위한 칼슘 권장량.
https://veganhealth.org/calcium-part-2/ - 위키백과 - 비건 영양(칼슘 부분). (2025). 비건 영양 -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Vegan_nutrition
식물성 식단을 따르는 사람들은 어떻게 충분한 요오드를 섭취할 수 있나요?
요오드는 전반적인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미네랄입니다. 갑상선 호르몬 생성에 필수적이며, 갑상선 호르몬은 신체의 에너지 사용 방식을 조절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여러 신체 기능을 조절합니다. 또한 유아와 어린이의 신경계 발달과 인지 능력에도 필수적입니다. 성인은 일반적으로 하루에 약 140마이크로그램의 요오드가 필요합니다. 잘 계획되고 다양한 식물성 식단을 섭취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요오드 필요량을 자연스럽게 충족할 수 있습니다.
식물성 요오드 공급원 중 가장 좋은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해초: 아라메, 미역, 김은 훌륭한 요오드 공급원이며 수프, 스튜, 샐러드 또는 볶음 요리에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해초는 천연 요오드 공급원이지만 적당히 섭취해야 합니다. 다시마는 요오드 함량이 매우 높아 갑상선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피하십시오.
- 요오드소금은 매일 충분한 요오드 섭취를 보장하는 안정적이고 편리한 방법입니다.
다른 식물성 식품도 요오드를 공급할 수 있지만, 그 양은 재배 토양의 요오드 함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음과 같은 식물성 식품이 있습니다.
- 퀴노아, 귀리, 통밀 제품 등 통곡물
- 녹두, 애호박, 케일, 봄나물, 물냉이와 같은 야채
- 딸기와 같은 과일
- 껍질이 그대로 남아 있는 유기농 감자
식물성 식단을 따르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요오드 소금, 다양한 채소, 그리고 가끔씩 해초를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건강한 요오드 수치를 유지하기에 충분합니다. 충분한 요오드 섭취는 갑상선 기능, 에너지 수치, 그리고 전반적인 웰빙에 도움이 되므로, 식물성 식단을 계획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영양소입니다.
참고자료:
- 니콜, 케이티 외 (2024). 요오드와 식물성 식단: 요오드 함량에 대한 서술적 고찰 및 계산. 영국영양학회지, 131(2), 265–275.
https://pubmed.ncbi.nlm.nih.gov/37622183/ - 비건 소사이어티(2025). 요오드.
https://www.vegansociety.com/resources/nutrition-and-health/nutrients/iodine - NIH – 식이보충제국(2024). 소비자를 위한 요오드 정보 자료.
https://ods.od.nih.gov/factsheets/Iodine-Consumer/ - 내분비학의 최전선(2025). 요오드 영양의 현대적 과제: 비건과… (L. Croce 외 저)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endocrinology/articles/10.3389/fendo.2025.1537208/full
식물성 식단에서 충분한 오메가-3 지방을 섭취하려면 기름진 생선을 먹어야 합니까?
아니요. 몸에 필요한 오메가-3 지방을 섭취하기 위해 생선을 꼭 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잘 계획된 식물성 식단은 최적의 건강에 필요한 모든 건강한 지방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은 뇌 발달과 기능, 건강한 신경계 유지, 세포막 지지, 혈압 조절, 면역 체계 및 신체의 염증 반응에 필수적입니다.
식물성 식품의 주요 오메가-3 지방은 알파-리놀렌산(ALA)입니다. 신체는 ALA를 장쇄 오메가-3인 EPA와 DHA로 전환할 수 있는데, 이는 생선에서 흔히 발견되는 형태입니다. 전환율은 비교적 낮지만, ALA가 풍부한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면 신체가 이러한 필수 지방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습니다.
ALA의 우수한 식물성 공급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아마씨 가루와 아마씨유
- 치아 씨앗
- 대마 씨앗
- 대두유
- 카놀라유
- 호두
생선만이 오메가-3를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은 흔한 오해입니다. 실제로 생선은 스스로 오메가-3를 생성하지 않고, 해조류를 섭취하여 섭취합니다. 충분한 EPA와 DHA를 직접 섭취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 식물성 해조류 보충제가 있습니다. 보충제뿐만 아니라 스피룰리나, 클로렐라, 클래머스와 같은 해조류 식품을 통해 DHA를 섭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식품들은 식물성 생활 방식을 따르는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장쇄 오메가-3를 직접 공급합니다.
다양한 식단과 이러한 공급원을 결합하면 식물성 식단을 먹는 사람들은 생선을 전혀 섭취하지 않고도 오메가-3 필요량을 충분히 충족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영국 영양학회(BDA) (2024). 오메가-3와 건강.
https://www.bda.uk.com/resource/omega-3.html - 하버드 TH 찬 공중보건대학원(2024). 오메가-3 지방산: 필수적인 기여.
https://www.hsph.harvard.edu/nutritionsource/omega-3-fats/ - 하버드 TH 찬 공중보건대학원(2024). 오메가-3 지방산: 필수적인 기여.
https://www.hsph.harvard.edu/nutritionsource/omega-3-fats/ - 미국 국립보건원(NIH) - 식이보충제국(2024). 소비자를 위한 오메가-3 지방산 정보 자료.
https://ods.od.nih.gov/factsheets/Omega3FattyAcids-Consumer/
식물성 식단을 먹는 사람들에게 보충제가 필요한가요?
그렇습니다. 일부 보충제는 식물성 식단을 따르는 사람에게 필수적이지만, 대부분의 영양소는 다양한 식단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비타민 B12는 식물성 식단을 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보충제입니다. 누구에게나 비타민 B12의 안정적인 공급원이 필요하며, 강화 식품에만 의존해서는 충분한 비타민 B12를 섭취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매일 50마이크로그램 또는 매주 2,000마이크로그램을 권장합니다.
비타민 D는 우간다처럼 햇볕이 강한 나라에서도 보충이 필요할 수 있는 영양소입니다. 비타민 D는 햇빛에 노출되면 피부에서 생성되지만, 많은 사람들, 특히 어린이는 충분한 양을 섭취하지 못합니다. 권장량은 하루 10마이크로그램(400IU)입니다.
다른 모든 영양소는 잘 계획된 식물성 식단으로 충분합니다. 오메가-3 지방(호두, 아마씨, 치아씨드 등), 요오드(해초 또는 요오드소금), 아연(호박씨, 콩류, 통곡물)을 자연적으로 공급하는 식품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영양소는 식단과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중요하지만, 식물성 식단을 따를 때는 특히 이러한 영양소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자료:
- 영국 영양학회(BDA) (2024). 식물성 식단.
https://www.bda.uk.com/resource/vegetarian-vegan-plant-based-diet.html - 미국 국립보건원(NIH) - 식이보충제국(2024). 소비자를 위한 비타민 B12 정보 자료.
https://ods.od.nih.gov/factsheets/VitaminB12-Consumer/ - 영국 국민건강보험(NHS)(2024). 비타민 D.
https://www.nhs.uk/conditions/vitamins-and-minerals/vitamin-d/
임신 중에 식물성 식단을 먹는 것은 안전한가요?
네, 신중하게 계획된 식물성 식단은 건강한 임신을 충분히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산모의 건강과 아기의 발달을 위해 신체의 영양소 필요량이 증가하지만, 식물성 식품은 신중하게 선택하면 필요한 거의 모든 것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주요 영양소로는 비타민 B12와 비타민 D가 있는데, 이는 식물성 식품만으로는 안정적으로 섭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충해야 합니다. 단백질, 철분, 칼슘 또한 태아 성장과 산모의 건강에 중요하며, 요오드, 아연, 오메가-3 지방산은 뇌와 신경계 발달에 도움을 줍니다.
엽산은 임신 초기에 특히 중요합니다. 엽산은 뇌와 척수로 발달하는 신경관 형성을 돕고 전반적인 세포 성장을 지원합니다. 임신을 계획하는 모든 여성은 임신 전과 첫 12주 동안 매일 400마이크로그램의 엽산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물성 식단은 중금속, 호르몬, 특정 박테리아 등 일부 동물성 식품에 함유된 잠재적으로 유해한 물질에 대한 노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콩류, 견과류, 씨앗류, 통곡물, 채소, 강화식품을 섭취하고 권장되는 보충제를 복용하면, 식물성 식단은 임신 기간 동안 산모와 아기 모두에게 안전하게 영양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영국 영양학회(BDA) (2024). 임신과 식단.
https://www.bda.uk.com/resource/pregnancy-diet.html - 국민건강보험공단(NHS UK) (2024). 채식주의자 또는 비건이며 임신 중.
https://www.nhs.uk/pregnancy/keeping-well/vegetarian-or-vegan-and-pregnant/ - 미국산부인과학회(ACOG) (2023). 임신 중 영양.
https://www.acog.org/womens-health/faqs/nutrition-during-pregnancy - 하버드 TH 찬 공중보건대학원(2023). 비건 및 채식 식단.
https://pubmed.ncbi.nlm.nih.gov/37450568/ - 세계보건기구(WHO) (2023). 임신 중 미량 영양소.
https://www.who.int/tools/elena/interventions/micronutrients-pregnancy
아이들이 식물성 식단으로 건강하게 자랄 수 있을까요?
네, 아이들은 신중하게 계획된 식물성 식단을 통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유년기는 급속한 성장과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영양 섭취가 매우 중요합니다. 균형 잡힌 식물성 식단은 건강한 지방, 식물성 단백질, 복합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을 포함한 모든 필수 영양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사실, 식물성 식단을 따르는 어린이는 동료 어린이보다 과일, 채소, 통곡물을 더 많이 섭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성장, 면역, 장기적인 건강에 중요한 섬유질, 비타민, 미네랄을 충분히 섭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일부 영양소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비타민 B12는 식물성 식단에서 항상 보충해야 하며, 비타민 D는 식단과 관계없이 모든 어린이에게 권장됩니다. 철분, 칼슘, 요오드, 아연, 오메가-3 지방과 같은 다른 영양소는 다양한 식물성 식품, 강화 식품, 그리고 신중한 식사 계획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올바른 지도와 다양한 식단을 통해 식물성 식단을 먹는 아이들은 건강하게 성장하고 정상적으로 발달하며 영양이 풍부하고 식물성 식품 중심의 생활 방식의 모든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영국 영양학회(BDA) (2024). 어린이 식단: 채식과 비건.
https://www.bda.uk.com/resource/vegetarian-vegan-plant-based-diet.html - 영양 및 식이요법 아카데미(2021년, 2023년 재확인). 채식 식단에 대한 입장.
https://www.eatrightpro.org/news-center/research-briefs/new-position-paper-on-vegetarian-and-vegan-diets - 하버드 TH 찬 공중보건대학원(2023). 어린이를 위한 식물성 식단.
hsph.harvard.edu/topic/food-nutrition-diet/ - 미국 소아과학회(AAP) (2023). 어린이의 식물성 식단.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healthy-living/nutrition/Pages/Plant-Based-Diets.aspx
식물성 식단이 운동선수에게 적합할까요?
물론입니다. 운동선수는 근육을 키우거나 최고의 경기력을 달성하기 위해 동물성 식품을 섭취할 필요가 없습니다. 근육 성장은 훈련 자극, 충분한 단백질, 그리고 전반적인 영양 섭취에 달려 있으며, 육류 섭취에 달려 있지 않습니다. 잘 계획된 식물성 식단은 근력, 지구력, 그리고 회복에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제공합니다.
식물성 식단은 지속적인 에너지를 위한 복합 탄수화물, 다양한 식물성 단백질, 필수 비타민과 미네랄, 항산화제, 그리고 섬유질을 제공합니다. 또한 포화지방 함량이 낮고 콜레스테롤이 없어 심장 질환, 비만, 당뇨병, 그리고 특정 암의 발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식물성 식단을 섭취하는 운동선수에게 가장 큰 이점 중 하나는 빠른 회복입니다. 식물성 식품에는 항산화제가 풍부하여 근육 피로를 유발하고, 운동 능력을 저하시키며, 회복을 지연시키는 불안정한 분자인 활성산소를 중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산화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운동선수는 더욱 꾸준히 훈련하고 더 효과적으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종목의 프로 운동선수들이 식물성 식단을 선택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보디빌더들조차도 콩류, 두부, 템페, 세이탄, 견과류, 씨앗류, 통곡물 등 다양한 단백질 공급원을 섭취함으로써 식물성 식단만으로도 충분히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2019년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게임 체인저스(The Game Changers)" 이후, 스포츠에서 식물성 영양의 이점에 대한 인식이 크게 높아졌으며, 비건 운동선수들도 건강이나 근력 저하 없이 뛰어난 경기력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운동선수를 위한 식물성 식단의 이점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여기를 클릭하여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참고자료:
- 영양 및 식이요법 아카데미(2021년, 2023년 재확인). 채식 식단에 대한 입장.
https://www.eatrightpro.org/news-center/research-briefs/new-position-paper-on-vegetarian-and-vegan-diets - 국제 스포츠 영양학회(ISSN) (2017). 입장 표명: 스포츠와 운동에서의 채식 식단.
https://jissn.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12970-017-0177-8 - 미국 스포츠의학회(ACSM) (2022). 영양과 운동 능력.
https://pubmed.ncbi.nlm.nih.gov/26891166/ - 하버드 TH 찬 공중보건대학원(2023). 식물성 식단과 스포츠 성과.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635497/ - 영국 영양학회(BDA) (2024). 스포츠 영양과 비건 식단.
https://www.bda.uk.com/resource/vegetarian-vegan-plant-based-diet.html
남성이 콩을 먹어도 안전할까요?
네, 남성도 안전하게 콩을 식단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
콩에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고 하는 천연 식물 화합물, 특히 제니스테인과 다이드제인과 같은 이소플라본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화합물들은 인간의 에스트로겐과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효과는 현저히 약합니다. 광범위한 임상 연구에 따르면 콩 식품이나 이소플라본 보충제는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치나 에스트로겐 수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남성 생식 호르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콩이 남성 호르몬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러한 오해는 수십 년 전에 반박되었습니다. 실제로 유제품에는 콩보다 수천 배 더 많은 에스트로겐이 함유되어 있는데, 콩에는 동물성 에스트로겐과 "양립할 수 없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식력과 불임학(Fertility and Sterility)에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콩 이소플라본 노출은 남성에게 여성화 효과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콩은 또한 영양가가 높은 식품으로,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한 완전 단백질, 건강에 좋은 지방, 칼슘과 철분 같은 미네랄, 비타민 B, 그리고 항산화제를 제공합니다. 꾸준히 섭취하면 심장 건강을 증진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며 전반적인 웰빙에도 도움이 됩니다.
참고자료:
- Hamilton-Reeves JM 외. 임상 연구에서 대두 단백질이나 이소플라본이 남성의 생식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이 없음을 보여줌: 메타분석 결과. Fertil Steril. 2010;94(3):997-1007. https://www.fertstert.org/article/S0015-0282(09)00966-2/fulltext
- 헬스라인. 콩은 몸에 좋을까요, 나쁠까요? https://www.healthline.com/nutrition/soy-protein-good-or-bad
건강 문제가 있어도 누구나 식물성 식단을 섭취할 수 있나요?
네,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정 건강 문제가 있더라도 식물성 식단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신중한 계획이 필요하며, 어떤 경우에는 의료 전문가의 지도가 필요합니다.
체계적인 식물성 식단은 건강에 필요한 단백질, 섬유질, 건강한 지방, 비타민, 미네랄 등 필수 영양소를 모두 제공합니다. 당뇨병, 고혈압, 심장 질환 등의 질환이 있는 경우, 식물성 식단으로 전환하면 혈당 조절, 심장 건강 개선, 체중 관리 등 추가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영양소 결핍, 소화 장애 또는 만성 질환이 있는 사람은 비타민 B12, 비타민 D, 철분, 칼슘, 요오드, 오메가-3 지방산을 충분히 섭취하기 위해 의사나 공인 영양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신중하게 계획한다면 식물성 식단은 거의 모든 사람에게 안전하고 영양가 있으며 전반적인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하버드 TH 찬 공중보건대학원. 채식 식단.
https://www.health.harvard.edu/nutrition/becoming-a-vegetarian - Barnard ND, Levin SM, Trapp CB. 당뇨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식물성 식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466941/ - 미국 국립보건원(NIH)
식물성 식단과 심혈관 건강
https://pubmed.ncbi.nlm.nih.gov/29496410/
식물성 식단을 섭취하는 데에는 어떤 위험이 있나요?
아마도 더 적절한 질문은 이것일 것입니다. 육식 위주의 식단을 섭취하는 데에는 어떤 위험이 있을까요? 동물성 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식단은 심장병, 뇌졸중, 암, 비만, 당뇨병과 같은 만성 질환의 위험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어떤 식단을 따르든, 결핍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보충제를 섭취한다는 사실은 음식만으로 모든 영양소 필요량을 충족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줍니다.
통식물성 식단은 필수 섬유질, 대부분의 비타민과 미네랄, 미량 영양소, 그리고 식물성 영양소를 풍부하게 제공하며, 다른 식단보다 더 많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비타민 B12와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한 일부 영양소는 추가적인 주의가 필요하며, 철분과 칼슘도 그보다 덜 중요합니다. 단백질 섭취는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하는 한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전체식물성 식단을 섭취하는 경우 비타민 B12는 강화식품이나 보충제를 통해 보충해야 하는 유일한 영양소입니다.
참고자료:
- 미국 국립보건원
식물성 식단과 심혈관 건강
https://pubmed.ncbi.nlm.nih.gov/29496410/ - 하버드 TH 찬 공중보건대학원. 채식 식단.
https://www.health.harvard.edu/nutrition/becoming-a-vegetarian
비건 음식은 비건이 아닌 음식보다 비싼 것 같아요. 비건으로 살 여유가 있을까요?
식물성 버거나 유제품 대체 식품처럼 일부 특수 비건 제품은 기존 제품보다 가격이 더 비쌀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만이 유일한 선택지는 아닙니다. 쌀, 콩, 렌틸콩, 파스타, 감자, 두부와 같은 주식을 기반으로 비건 식단을 구성하면 매우 경제적일 수 있으며, 이러한 주식은 고기나 유제품보다 저렴한 경우가 많습니다. 조리된 음식에 의존하는 대신 집에서 요리하면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으며, 대량 구매는 더욱 절약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육류와 유제품 섭취를 줄이면 과일, 채소, 그리고 기타 건강한 주식을 구매하는 데 쓸 수 있는 돈이 늘어납니다. 건강을 위한 투자라고 생각해 보세요. 식물성 식단은 심장병, 당뇨병, 그리고 기타 만성 질환의 위험을 낮춰 장기적으로 수백 달러에서 수천 달러에 달하는 의료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고기를 먹는 가족과 친구들의 부정적인 반응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채식 위주의 생활 방식을 채택하다 보면 의견이 다른 가족이나 친구들과 마찰이 생길 수 있습니다. 부정적인 반응은 악의가 아니라 오해, 방어적인 태도, 또는 단순한 낯설음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상황을 건설적으로 헤쳐나가는 몇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솔선수범하세요.
식물성 식단이 즐겁고,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주세요. 맛있는 음식을 함께 먹거나 사랑하는 사람들을 새로운 레시피에 초대하는 것이 논쟁보다 더 설득력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침착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유지하세요.
논쟁에서 마음이 바뀌는 경우는 드뭅니다. 인내심과 친절함을 가지고 대응하면 대화가 원활하게 이어지고 긴장이 고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어떤 싸움을 할지 정하세요.
모든 댓글에 답글이 필요한 건 아닙니다. 때로는 모든 식사를 토론으로 만들기보다는, 댓글은 접어두고 긍정적인 소통에 집중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적절한 경우 정보를 공유하세요.
누군가 진심으로 궁금해한다면 식물성 식단의 건강, 환경, 윤리적 이점에 대한 믿을 만한 자료를 제공하세요. 상대방이 묻지 않는 한, 과도한 사실로 부담을 주지 마세요.상대방의 관점을 존중하세요.
다른 사람들이 문화적 전통, 개인적인 습관, 또는 음식에 대한 감정적 유대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존중하세요.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면 대화가 더욱 공감적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서로에게 힘이 되어 줄 커뮤니티를 찾으세요.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당신과 가치관을 공유하는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지지를 받으면 자신의 선택에 자신감을 유지하기가 더 쉬워집니다."이유"를 기억하세요.
건강, 환경, 동물 등 어떤 동기를 가지고 있든, 자신의 가치관에 기반을 두면 비판을 우아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에 대처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는 것보다는 자신의 평화, 정직함, 그리고 연민을 유지하는 것에 더 가깝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당신의 생활 방식이 건강과 행복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보고 나서 더 수용하게 됩니다.
아직도 식당에서 식사할 수 있나요?
네, 물론 채식 식단을 지키면서도 외식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식당에서 비건 옵션을 제공하면서 외식이 그 어느 때보다 쉬워지고 있지만, 비건 메뉴가 따로 표기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도 대개 적합한 메뉴를 찾거나 주문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비건 친화적인 곳을 찾아보세요.
많은 레스토랑이 메뉴에 비건 요리를 강조하고 있으며, 체인점과 지역 식당에서도 식물성 옵션을 추가하고 있습니다.먼저 온라인에서 메뉴를 확인하세요.
대부분의 레스토랑은 메뉴를 온라인에 게시하므로, 미리 계획을 세워 어떤 메뉴가 있는지 확인하거나 쉽게 대체할 수 있는 메뉴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정중하게 수정 사항을 요청하세요.
셰프들은 종종 고기, 치즈, 버터를 식물성 재료로 바꾸거나 아예 사용하지 않기도 합니다.세계 각국의 요리를 탐험해 보세요.
지중해식 팔라펠과 후무스, 인도식 카레와 달, 멕시코식 콩 요리, 중동식 렌틸 스튜, 태국식 야채 카레 등 세계 각국의 요리에는 식물성 재료가 자연스럽게 들어갑니다.미리 전화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간단한 전화 한 통이면 비건 친화 옵션을 확인하고 더욱 편안한 식사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경험을 공유해 주세요.
좋은 비건 옵션을 찾으셨다면 직원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세요. 식당에서는 고객이 채식 메뉴를 요청하면 이를 잘 알아채고 즐겨 먹습니다.
식물성 식단으로 외식하는 것은 제한을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새로운 맛을 시도하고, 창의적인 요리를 발견하고, 레스토랑에 배려심 있고 지속 가능한 음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입니다.
친구들이 내 채식주의 생활 방식을 놀리면 어떻게 해야 할까?
사람들이 당신의 선택에 대해 농담을 하면 마음이 아플 수 있지만, 조롱은 종종 불편함이나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당신에게 문제가 있어서가 아닙니다. 당신의 라이프스타일은 연민, 건강, 그리고 지속가능성에 기반하며, 이는 자랑스러워할 만한 것입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침착함을 유지하고 방어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것입니다. 때로는 가벼운 반응이나 단순히 화제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상황을 진정시킬 수 있습니다. 때로는 설교가 아닌, 비건이 왜 당신에게 중요한지 설명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누군가 진심으로 궁금해한다면 정보를 공유하세요. 단지 당신을 자극하려는 것이라면, 그냥 물러나도 괜찮습니다.
당신의 선택을 존중하고, 그 선택에 공감하든 그렇지 않든 지지해 주는 사람들과 함께하세요. 시간이 지나면서 당신의 일관성과 친절함은 말보다 더 크게 다가올 것이고, 한때 농담을 하던 많은 사람들이 당신에게서 배우는 데 더욱 열린 마음을 갖게 될 것입니다.
지구와 사람에 대한 FAQ
유제품을 먹는 게 왜 문제인가?
많은 사람들이 유제품 산업과 육류 산업이 서로 깊이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합니다. 사실상 이 둘은 동전의 양면과 같습니다. 소는 영원히 우유를 생산하지 않습니다. 우유 생산량이 감소하면 대개 소고기로 도축됩니다. 마찬가지로, 유제품 산업에서 태어난 수컷 송아지는 우유를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종종 "폐기물"로 간주되며, 많은 송아지 고기나 품질이 낮은 소고기를 얻기 위해 도축됩니다. 따라서 소비자는 유제품을 구매함으로써 육류 산업에 직접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셈입니다.
환경적 관점에서 유제품 생산은 매우 자원 집약적입니다. 방목과 가축 사료 재배를 위한 광대한 토지와 엄청난 양의 물이 필요하며, 이는 식물성 대체 식품 생산에 필요한 양보다 훨씬 많습니다. 젖소에서 배출되는 메탄 또한 기후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 유제품 산업을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윤리적 문제도 있습니다. 젖소는 우유 생산을 위해 반복적으로 임신을 당하고, 송아지는 출생 직후 어미와 분리되는데, 이는 어미와 송아지 모두에게 고통을 안겨줍니다. 많은 소비자들이 유제품 생산의 근간이 되는 이러한 착취의 악순환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유제품을 지원한다는 것은 육류 산업을 지원하고, 환경 피해에 기여하고, 동물의 고통을 영구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속 가능하고 건강하며 친절한 식물성 대체 식품이 쉽게 이용 가능한 상황에서 말입니다.
참고자료:
- 유엔식량농업기구(FAO). (2006). 가축의 긴 그림자: 환경 문제와 선택지. 로마: 유엔식량농업기구.
https://www.fao.org/4/a0701e/a0701e00.htm - 유엔환경계획(UNEP). (2019). 식량과 기후 변화: 건강한 지구를 위한 건강한 식단. 나이로비: 유엔환경계획.
https://www.un.org/en/climatechange/science/climate-issues/food - 영양·식이요법학회(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2016). 영양·식이요법학회의 입장: 채식 식단. 영양·식이요법학회지, 116(12), 1970–1980.
https://pubmed.ncbi.nlm.nih.gov/27886704/
식물성 우유는 환경에 나쁘지 않나요?

전체 리소스는 여기에서 확인하세요
https://www.bbc.com/news/science-environment-46654042
아니요. 식물성 우유의 종류에 따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지만, 모든 우유는 유제품보다 훨씬 지속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아몬드 우유는 물 사용량이 많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여전히 우유보다 물과 토지 사용량이 훨씬 적고 배출량도 적습니다. 귀리, 두유, 대마 우유는 가장 친환경적인 선택으로, 식물성 우유는 지구 전체에 더 나은 선택입니다.
식물성 식단도 지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나요?
비건이나 식물성 식단이 콩과 같은 작물 때문에 지구에 해롭다는 것은 흔한 오해입니다. 실제로 전 세계 콩 생산량의 약 80%는 사람이 아닌 가축 사료로 사용됩니다. 두부, 두유, 또는 기타 식물성 식품으로 가공되는 양은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즉, 사람들이 동물을 섭취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전 세계 콩 수요의 상당 부분을 증가시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비스킷 같은 가공 간식부터 통조림 육류 제품에 이르기까지 비건이 아닌 일상 식품에도 콩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축산업에서 벗어나면 필요한 토지와 작물의 양이 극적으로 줄어들 것입니다. 이를 통해 삼림 벌채가 줄어들고, 더 많은 자연 서식지가 보존되며, 온실가스 배출량도 줄어들 것입니다. 간단히 말해, 비건 식단을 선택하면 가축 사료 작물에 대한 수요를 줄이고 지구 생태계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참고자료:
- 유엔식량농업기구(FAO). (2018). 2018년 세계 산림 현황: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산림의 길. 로마: 유엔식량농업기구.
https://www.fao.org/state-of-forests/en/ - 세계자원연구소(2019). 지속가능한 식량 미래 창조: 2050년까지 약 100억 명에게 식량을 공급하기 위한 해결책. 워싱턴 D.C.: 세계자원연구소.
https://www.wri.org/research/creating-sustainable-food-future - Poore, J., & Nemecek, T. (2018). 생산자와 소비자를 통한 식품의 환경 영향 감소. Science, 360(6392), 987–992.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aq0216 - 유엔환경계획(UNEP). (2021). 식량 체계가 생물다양성 손실에 미치는 영향: 자연 보호를 위한 식량 체계 전환을 위한 세 가지 수단. 나이로비: 유엔환경계획.
https://www.unep.org/resources/publication/food-system-impacts-biodiversity-loss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2022). 기후변화 2022: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제6차 평가 보고서에 대한 실무그룹 III의 기여.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https://www.ipcc.ch/report/ar6/wg3/
우리가 동물의 방목을 멈추면 시골에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모두가 비건 생활 방식을 채택한다면, 농업에 필요한 토지가 훨씬 줄어들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시골의 많은 부분이 자연 상태로 돌아가 숲, 초원, 그리고 다른 야생 서식지들이 다시 번성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길 것입니다.
가축 농업을 종식시키는 것은 농촌에 손실을 주는 것이 아니라 엄청난 이익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 엄청난 양의 동물 고통이 끝나게 될 것입니다.
- 야생 동물 개체수가 회복되고 생물 다양성이 증가할 것입니다.
- 숲과 초원이 확장되어 탄소를 저장하고 기후 변화에 맞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현재 가축 사료로 사용되는 토지를 보호구역, 야생화 구역, 자연 보호 구역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연구에 따르면, 모든 사람이 비건 채식을 한다면 농업에 필요한 토지가 76%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자연 경관과 생태계의 극적인 부활을 가져오고 야생 동물이 진정으로 번성할 수 있는 공간을 더 넓혀줄 것입니다.
참고자료:
-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2020). 세계 식량 및 농업을 위한 토지 및 수자원 현황 - 한계점에 다다른 시스템. 로마: 유엔 식량농업기구.
https://www.fao.org/land-water/solaw2021/en/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2022). 기후변화 2022: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제6차 평가 보고서에 대한 실무그룹 III의 기여.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https://www.ipcc.ch/report/ar6/wg3/ - 세계자원연구소(2019). 지속가능한 식량 미래 창조: 2050년까지 약 100억 명에게 식량을 공급하기 위한 해결책. 워싱턴 D.C.: 세계자원연구소.
https://www.wri.org/research/creating-sustainable-food-future
환경 보호를 위해 지역에서 생산된 유기농 동물성 식품을 먹을 수는 없나요?

관련 연구 및 데이터:
음식의 탄소 발자국을 줄이고 싶으신가요? 지역산 식품인지 아닌지보다는 무엇을 먹는지에 집중하세요.
전체 자료는 여기에서 확인하세요: https://ourworldindata.org/food-choice-vs-eating-local
지역에서 생산되고 유기농인 식품을 구매하면 식품 마일리지가 줄어들고 살충제도 일부 피할 수 있지만,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원산지보다 무엇을 먹느냐가 훨씬 더 중요합니다.
가장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사육되고 유기농으로 재배된 지역 축산물조차도 사람이 직접 소비하는 식물을 재배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토지, 물, 그리고 자원을 필요로 합니다. 가장 큰 환경적 부담은 동물을 직접 사육하는 데서 발생하는 것이지, 그 제품을 운송하는 데서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식물성 식단으로 전환하면 온실가스 배출량, 토지 이용, 그리고 물 소비량이 크게 줄어듭니다. 지역산이든 아니든 식물성 식품을 선택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동물성 식품을 선택하는 것보다 환경에 훨씬 더 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콩이 지구를 파괴하고 있지 않나요?
열대우림이 1분마다 축구장 세 개 크기만큼 파괴되어 수천 마리의 동물과 사람들이 쫓겨나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재배되는 콩의 대부분은 식용이 아닙니다. 현재 남미에서 생산되는 콩의 약 70%는 가축 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아마존 삼림 벌채의 약 90%는 가축 사료 재배나 소 방목지 조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식용으로 동물을 사육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고기와 유제품을 생산하는 데는 엄청난 양의 작물, 물, 그리고 토지가 필요하며, 이는 인간이 같은 작물을 직접 먹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양입니다. 이러한 "중간 단계"를 없애고 콩과 같은 작물을 우리 스스로 소비한다면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을 먹여 살리고, 토지 사용을 줄이며, 자연 서식지를 보호하고,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고, 축산업과 관련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2021). 2020 세계 산림 현황: 산림, 생물다양성, 그리고 사람들. 로마: 유엔 식량농업기구.
https://www.fao.org/state-of-forests/en/ - 세계자연기금(WWF). (2021). 대두 보고서: 글로벌 기업의 공급망 참여 평가. 스위스 글랑: 세계자연기금.
https://www.wwf.fr/sites/default/files/doc-2021-05/20210519_Rapport_Soy-trade-scorecard-How-commited-are-soy-traders-to-a-conversion-free-industry_WWF%26Global-Canopy_compressed.pdf - 유엔환경계획(UNEP). (2021). 식량 체계가 생물다양성 손실에 미치는 영향: 자연 보호를 위한 식량 체계 전환을 위한 세 가지 수단. 나이로비: 유엔환경계획.
https://www.unep.org/resources/publication/food-system-impacts-biodiversity-loss - Poore, J., & Nemecek, T. (2018). 생산자와 소비자를 통한 식품의 환경 영향 감소. Science, 360(6392), 987–992.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aq0216
아몬드가 가뭄을 일으키지 않나요?
아몬드가 자라려면 물이 필요하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몬드가 전 세계 물 부족의 주요 원인은 아닙니다. 농업에서 담수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분야는 축산업으로, 축산업만 해도 전 세계 담수 사용량의 약 4분의 1을 차지합니다. 이 물의 상당 부분은 사람이 아닌 가축을 위한 작물 재배에 사용됩니다.
칼로리나 단백질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아몬드는 유제품, 소고기 또는 기타 동물성 식품보다 훨씬 더 효율적으로 물을 섭취합니다. 동물성 식품에서 아몬드를 포함한 식물성 식품으로 전환하면 물 수요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더욱이 식물 기반 농업은 온실가스 배출, 토지 이용, 물 소비 등 전반적인 환경 영향이 훨씬 낮습니다. 따라서 아몬드, 귀리, 콩과 같은 식물성 우유를 선택하는 것은 유제품이나 동물성 제품을 섭취하는 것보다 더 지속 가능한 선택입니다. 아몬드 자체에 관개가 필요하더라도 말입니다.
참고자료:
-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2020). 2020년 식량농업 현황: 농업의 물 문제 극복. 로마: 유엔 식량농업기구.
https://www.fao.org/publications/fao-flagship-publications/the-state-of-food-and-agriculture/2020/en - Mekonnen, MM, & Hoekstra, AY (2012). 축산물의 물발자국에 대한 지구 차원의 평가. Ecosystems, 15(3), 401–415.
https://www.waterfootprint.org/resources/Mekonnen-Hoekstra-2012-WaterFootprintFarmAnimalProducts_1.pdf - 세계자원연구소(2019). 지속가능한 식량 미래 창조: 2050년까지 약 100억 명에게 식량을 공급하기 위한 해결책. 워싱턴 D.C.: 세계자원연구소.
https://www.wri.org/research/creating-sustainable-food-future
채식주의자들이 아보카도를 먹으면서 지구를 파괴하고 있는 걸까?
아니요. 비건들이 아보카도를 섭취함으로써 지구에 해를 끼친다는 주장은 일반적으로 캘리포니아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 상업적 벌 수분을 사용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대규모 아보카도 재배가 때때로 운송된 벌에 의존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 문제는 아보카도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사과, 아몬드, 멜론, 토마토, 브로콜리를 포함한 많은 작물 또한 상업적 수분에 의존하며, 비건이 아닌 사람들도 이러한 작물을 섭취합니다.
아보카도는 삼림 벌채를 유발하고,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훨씬 더 많은 물과 토지를 필요로 하는 육류와 유제품에 비해 지구에 미치는 피해가 훨씬 적습니다. 동물성 식품 대신 아보카도를 선택하면 환경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비건(채식주의자)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가능하면 규모가 작거나 지속 가능한 농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지만, 아보카도를 포함한 식물을 섭취하는 것이 축산업을 지원하는 것보다 훨씬 친환경적입니다.
참고자료:
- 유엔식량농업기구(FAO). (2021). 2021년 식량농업 현황: 충격과 스트레스에 대한 농식품 시스템의 회복력 강화. 로마: 유엔식량농업기구.
https://www.fao.org/publications/fao-flagship-publications/the-state-of-food-and-agriculture/2021/en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2022). 기후변화 2022: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제6차 평가 보고서에 대한 실무그룹 III의 기여.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https://www.ipcc.ch/report/ar6/wg3/ - 하버드 TH 찬 공중보건대학원(2023). 영양 공급원 - 식량 생산의 환경적 영향.
https://nutritionsource.hsph.harvard.edu/sustainability/
가난한 나라를 포함한 모든 나라가 채식주의 식단을 채택하는 것이 현실적일까요?
어렵지만 가능합니다. 동물에게 작물을 먹이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가축에게 공급되는 칼로리 중 실제로 인간의 식량으로 쓰이는 것은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모든 국가가 비건 식단을 채택한다면, 이용 가능한 칼로리를 최대 70%까지 늘려 수십억 명의 사람들을 먹여 살릴 수 있습니다. 또한 토지를 비워 숲과 자연 서식지를 회복시켜 지구를 더욱 건강하게 만들고 모든 사람의 식량 안보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Springmann, M., Godfray, HCJ, Rayner, M., & Scarborough, P. (2016). 식이 변화의 건강 및 기후 변화 공동 편익 분석 및 가치 평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113(15), 4146–4151.
https://www.pnas.org/doi/10.1073/pnas.1523119113 - Godfray, HCJ, Aveyard, P., Garnett, T., Hall, JW, Key, TJ, Lorimer, J., … & Jebb, SA (2018). 육류 소비, 건강, 그리고 환경. Science, 361(6399), eaam5324.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am5324 - Foley, JA, Ramankutty, N., Brauman, KA, Cassidy, ES, Gerber, JS, Johnston, M., … & Zaks, DPM (2011). 경작 가능한 지구를 위한 해결책. Nature, 478, 337–342.
https://www.nature.com/articles/nature10452
플라스틱과 소비의 다른 부산물이 식단보다 더 큰 환경 문제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플라스틱 폐기물과 생분해되지 않는 재료는 심각한 문제이지만, 축산업의 환경적 영향은 훨씬 더 광범위합니다. 삼림 벌채, 토양 및 수질 오염, 해양 데드존(죽음의 해역), 그리고 막대한 온실가스 배출을 유발하는데, 이는 단순히 소비되는 플라스틱만으로 발생하는 것보다 훨씬 심각합니다. 많은 동물성 제품이 일회용 포장재로 생산되어 폐기물 문제를 가중시킵니다. 제로 웨이스트(쓰레기 없는) 습관을 추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비건 식단은 여러 환경 위기를 동시에 해결하고 훨씬 더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해양의 소위 "플라스틱 섬"에서 발견되는 플라스틱의 대부분은 실제로는 버려진 어망과 기타 어구이며, 주로 소비자 포장재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이는 산업적 관행, 특히 축산업과 관련된 상업적 어업이 해양 플라스틱 오염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줍니다. 따라서 동물성 식품에 대한 수요를 줄이는 것은 온실가스 배출과 해양 플라스틱 오염을 모두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생선만 먹는 것이 환경적으로 괜찮을까요?
생선만 먹는 것은 지속 가능하거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선택이 아닙니다. 남획으로 전 세계 어류 개체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일부 연구에 따르면 현재 추세가 지속된다면 2048년에는 어류 없는 바다가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어업 관행은 또한 매우 파괴적입니다. 그물은 의도치 않은 어종(부수어획)을 대량으로 포획하여 해양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에 해를 끼칩니다. 더욱이, 유실되거나 폐기된 어망은 해양 플라스틱의 주요 공급원으로, 바다 플라스틱 오염의 거의 절반을 차지합니다. 생선은 소고기나 다른 육지 동물보다 자원 집약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생선에만 의존하는 것은 여전히 환경 파괴, 생태계 붕괴, 그리고 오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식물성 식단은 훨씬 더 지속 가능하며 지구의 바다와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피해도 적습니다.
참고자료:
- Worm, B. 외 (2006). 생물다양성 손실이 해양 생태계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Science, 314(5800), 787–790.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1132294 - FAO. (2022). 2022년 세계 어업 및 양식 현황. 유엔 식량농업기구.
https://www.fao.org/state-of-fisheries-aquaculture - OceanCare, 2024년 어류 포럼에서 어구로 인한 해양 오염 강조
https://www.oceancare.org/en/stories_and_news/fish-forum-marine-pollution/
육류 생산은 기후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육류 생산은 기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육류와 유제품 구매는 수요를 증가시키고, 이는 목초지 조성과 가축 사료 재배를 위한 삼림 벌채로 이어집니다. 이는 탄소를 저장하는 숲을 파괴하고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가축 자체도 강력한 온실가스인 메탄을 배출하여 지구 온난화를 더욱 심화시킵니다. 또한, 축산업은 강과 바다를 오염시켜 해양 생물이 살 수 없는 데드존(죽음의 지역)을 조성합니다. 육류 소비를 줄이는 것은 개인이 탄소 발자국을 줄이고 기후 변화 완화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참고자료:
- Poore, J., & Nemecek, T. (2018). 생산자와 소비자를 통한 식품의 환경 영향 감소. Science, 360(6392), 987–992.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aq0216 - FAO. (2022). 2022년 식량농업 현황. 유엔식량농업기구.
https://www.fao.org/publications/fao-flagship-publications/the-state-of-food-and-agriculture/2022/en - IPCC. (2019). 기후 변화와 토지: IPCC 특별 보고서.
https://www.ipcc.ch/srccl/
닭고기를 먹는 것이 다른 고기를 먹는 것보다 환경에 더 좋은가요?
닭고기는 소고기나 양고기보다 탄소 발자국이 적지만, 여전히 상당한 환경적 영향을 미칩니다. 양계는 메탄과 기타 온실가스를 배출하여 기후 변화에 기여합니다. 분뇨 유출은 강과 바다를 오염시켜 수생 생물이 살 수 없는 죽음의 구역을 만듭니다. 따라서 일부 육류보다 "더 나을"지라도, 닭고기 섭취는 식물성 식단에 비해 여전히 환경에 해롭습니다.
참고자료:
- Poore, J., & Nemecek, T. (2018). 생산자와 소비자를 통한 식품의 환경 영향 감소. Science, 360(6392), 987–992.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aq0216 - FAO. (2013). 가축을 통한 기후 변화 대응: 배출량 및 완화 기회에 대한 전 세계 평가. 유엔 식량농업기구.
https://www.fao.org/4/i3437e/i3437e.pdf - Clark, M., Springmann, M., Hill, J., & Tilman, D. (2019). 식품의 다중 건강 및 환경 영향. PNAS, 116(46), 23357–23362.
https://www.pnas.org/doi/10.1073/pnas.1906908116
만약 모든 사람이 식물성 식단으로 바꾼다면, 가축에 의존하는 농부와 지역 사회가 일자리를 잃지 않을까요?
식물성 식단으로의 전환이 생계를 파괴할 필요는 없습니다. 농부들은 축산업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과일, 채소, 콩류, 견과류, 그리고 기타 식물성 식품 재배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식물성 식품, 대체 단백질, 지속가능한 농업과 같은 새로운 산업들은 일자리와 경제적 기회를 창출할 것입니다. 정부와 지역 사회 또한 교육과 인센티브를 통해 이러한 전환을 지원하여, 우리가 더 지속가능한 식량 시스템으로 나아가는 동안 사람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룬 농장들의 고무적인 사례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낙농장은 아몬드, 콩, 또는 기타 식물성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토지를 전환했고, 여러 지역의 축산 농가들은 국내 및 해외 시장을 대상으로 콩과 식물, 과일, 채소 생산으로 전환했습니다. 이러한 전환은 농부들에게 새로운 소득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식량 생산에 기여하고 증가하는 식물성 식품 수요를 충족시킵니다.
교육, 재정적 인센티브, 지역 사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이러한 변화를 지원함으로써 식물성 식품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사람과 지구 모두에게 이로운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가죽이 합성 소재보다 환경에 더 좋지 않나요?
마케팅 주장과는 달리 가죽은 친환경적인 소재와는 거리가 멉니다. 생산 과정에서 알루미늄, 강철, 시멘트 산업에 필적하는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소비되고, 무두질 과정에서 가죽이 자연적으로 생분해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또한 무두질 공장에서는 황화물, 산, 염분, 털, 단백질 등 다량의 독성 물질과 오염 물질을 배출하여 토양과 물을 오염시킵니다.
게다가 가죽 태닝 작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유해한 화학 물질에 노출되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으며, 피부 문제, 호흡기 문제를 일으키고 어떤 경우에는 장기적인 질병을 겪기도 합니다.
반면, 합성 소재는 훨씬 적은 자원을 사용하고 환경 피해도 최소화합니다. 가죽을 선택하는 것은 지구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선택과는 거리가 멉니다.
참고자료:
- 가죽 생산 시 물과 에너지 사용:
Old Town Leather Goods. 가죽 생산의 환경적 영향
https://oldtownleathergoods.com/environmental-impact-of-leather-production - 가죽 생산 공장의 화학 오염은
패션을 지탱합니다. 가죽 생산이 기후 변화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
https://sustainfashion.info/the-environmental-impact-of-leather-production-on-climate-change/ - 가죽 산업의 폐기물 발생량
Faunalytics. 가죽 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https://faunalytics.org/the-leather-industrys-impact-on-the-environment/ - 합성 가죽의 환경적 영향
Vogue. 비건 가죽이란 무엇일까요?
https://www.vogue.com/article/what-is-vegan-leather
동물과 윤리 FAQ
식물성 식단을 먹는 생활 방식은 동물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식물 기반 생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은 동물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매년 수십억 마리의 동물이 식량, 의복, 그리고 기타 생산품을 위해 사육되고, 감금되고, 도살됩니다. 이 동물들은 자유, 자연스러운 행동, 심지어 가장 기본적인 복지조차 박탈된 환경에서 살아갑니다. 식물 기반 생활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이러한 산업에 대한 수요를 직접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이는 고통받고 죽기만 하는 동물의 수를 줄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식단을 실천하는 한 사람이 평생 수백 마리의 동물을 살릴 수 있다고 합니다. 단순히 숫자만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이는 동물을 상품으로 취급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신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지각 있는 존재로 인식하는 변화를 의미합니다. 식물성 식단을 선택하는 것은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참고자료:
- PETA – 식물성 라이프스타일의 이점
https://www.peta.org.uk/living/vegan-health-benefits/ - Faunalytics(2022)
https://faunalytics.org/how-many-animals-does-a-vegn-spare/
동물의 생명도 인간의 생명만큼 중요한가?
동물의 생명이 인간의 생명과 동등한 가치를 가지는지에 대한 복잡한 철학적 논쟁을 굳이 해결할 필요는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리고 식물 기반 생활 방식의 근간이 되는 것은, 동물이 감각을 가지고 있다는 인식입니다. 동물도 고통, 두려움, 기쁨, 그리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단순한 사실만으로도 동물의 고통은 도덕적으로 타당합니다.
식물성 식품을 선택한다고 해서 인간과 동물이 같다고 주장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지 이렇게 묻는 것뿐입니다. 우리가 동물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충만하고 건강하며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 있다면, 왜 그렇게 하지 않겠습니까?
그런 의미에서, 문제는 생명의 중요성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연민과 책임감에 관한 것입니다. 불필요한 피해를 최소화함으로써, 우리는 인간이 더 많은 힘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그 힘을 현명하게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착취가 아닌 보호를 위해 말입니다.
왜 당신은 사람이 아닌 동물에 관심을 갖는 건가요?
동물을 아끼는 것이 사람을 덜 아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사실, 식물성 식단을 실천하는 것은 동물과 사람 모두에게 도움이 됩니다.
- 모두를 위한 환경적 혜택
축산업은 삼림 벌채, 수질 오염, 그리고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식물성 식품을 선택함으로써 우리는 이러한 부담을 줄이고 더 깨끗하고 건강한 지구를 향해 나아갈 수 있으며, 이는 모든 사람에게 이로운 일입니다. - 식량 정의와 세계적 공정성:
식량을 위해 동물을 사육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막대한 토지, 물, 그리고 작물이 사람 대신 동물을 먹이는 데 사용됩니다. 많은 개발도상국에서는 비옥한 토지가 지역 주민을 위한 식량 공급보다는 수출용 가축 사료 재배에 사용됩니다. 식물 기반 시스템은 전 세계 기아 퇴치와 식량 안보 지원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해 줄 것입니다. - 인간 건강 보호
식물성 식단은 심장 질환, 당뇨병, 비만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건강한 인구는 의료 시스템의 부담을 줄이고, 근무 손실 일수를 줄이며, 개인과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 인권과 노동자의 복지
모든 도축장 뒤에는 위험한 환경, 저임금, 심리적 트라우마, 그리고 장기적인 건강 문제에 직면한 노동자들이 있습니다. 동물 착취에서 벗어나는 것은 더 안전하고 품위 있는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동물을 돌보는 것은 사람을 돌보는 것과 상충되지 않습니다. 이 둘은 더욱 정의롭고, 자비롭고, 지속 가능한 세상을 향한 동일한 비전의 일부입니다.
세계가 식물성 식단으로 바뀐다면 가축들은 어떻게 될까요?
세계가 식물성 식품 시스템으로 전환한다면, 가축의 수는 점진적이고 현저하게 감소할 것입니다. 현재 육류, 유제품, 계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매년 수십억 마리의 동물들이 강제 사육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위적인 수요가 없다면, 산업계는 더 이상 동물을 대량 생산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는 기존 동물들이 갑자기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이상적으로는 보호구역이나 적절한 보살핌 속에서 자연스러운 삶을 계속 살아갈 것입니다. 바뀌는 것은 수십억 마리의 새로운 동물들이 착취 시스템 속에서 태어나 고통과 조기 사망을 겪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
장기적으로 이러한 전환은 우리가 동물과의 관계를 새롭게 정의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입니다. 동물을 상품처럼 취급하는 대신, 더 작고 지속 가능한 개체군으로 존재하게 될 것입니다. 인간의 이용을 위해 사육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닌 개체로서 살아갈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식물 기반 세계는 가축에게 혼란을 초래하지 않을 것입니다. 오히려 불필요한 고통이 종식되고 사육되는 동물의 수가 점진적이고 인도적으로 감소할 것입니다.
식물은 어때요? 식물도 지각이 있지 않나요?
설령, 극히 믿기 어려운 경우라 하더라도, 동물 농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식물을 직접 섭취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식물을 수확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모든 증거는 식물이 그렇지 않다는 결론을 내리게 합니다. 여기서 설명하는 바와 같습니다. 식물은 지각 있는 존재의 몸에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신경계나 다른 구조가 없습니다. 따라서 식물은 경험을 할 수 없고, 따라서 고통을 느낄 수 없습니다. 이는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사실을 뒷받침하는데, 식물은 의식이 있는 존재처럼 행동을 하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리는 지각이 가진 기능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지각은 자연사에서 행동을 유발하는 도구로 등장하여 선택되어 왔습니다. 따라서 식물이 지각을 갖는다는 것은 전혀 의미가 없습니다. 식물은 위협으로부터 도망치거나 다른 복잡한 움직임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식물의 지능"과 식물의 "자극에 대한 반응"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이는 단지 식물이 지닌 어떤 능력만을 지칭할 뿐이며, 어떠한 형태의 지각, 감정 또는 사고를 수반하지 않습니다.
일부 사람들의 주장과는 달리, 그 반대 주장에는 과학적 근거가 없습니다. 일부 과학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식물이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이는 단지 근거 없는 믿음일 뿐입니다. 어떤 과학 논문도 이 주장을 뒷받침하지 못했습니다.
참고자료:
- ResearchGate: 식물도 통증을 느낄까?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3273411_Do_Plants_Feel_Pain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식물 신경생물학에 대한 오해
https://news.berkeley.edu/2019/03/28/berkeley-talks-transcript-neurobiologist-david-presti/ - 세계동물보호협회(WAR)
식물도 고통을 느낄까? 과학과 윤리 분석
https://www.worldanimalprotection.us/latest/blogs/do-plants-feel-pain-unpacking-the-science-and-ethics/
동물이 고통과 기쁨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과학은 동물이 무감각한 기계가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주었습니다. 동물은 복잡한 신경계, 뇌, 그리고 고통과 기쁨을 분명히 나타내는 행동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경학적 증거: 많은 동물은 인간과 유사한 뇌 구조(편도체와 전전두엽 피질 등)를 공유하며, 이는 두려움, 쾌락, 스트레스와 같은 감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행동 증거: 동물들은 다치면 울부짖고, 고통을 피하며, 편안함과 안전을 추구합니다. 반대로, 동물들은 놀고, 애정을 표현하고, 유대감을 형성하고, 심지어 호기심까지 보이는데, 이는 모두 기쁨과 긍정적인 감정의 신호입니다.
과학적 합의: 의식에 관한 케임브리지 선언(2012)과 같은 주요 기관들은 포유류, 조류, 심지어 일부 다른 종조차도 감정을 경험할 수 있는 의식이 있는 존재라고 확언합니다.
동물은 자신의 필요가 무시되면 고통을 받고, 안전하고, 사교적이고, 자유로울 때 잘 살아갑니다. 우리와 마찬가지입니다.
참고자료:
- 의식에 관한 케임브리지 선언(2012)
https://www.animalcognition.org/2015/03/25/the-declaration-of-nonhuman-animal-conciousness/ - ResearchGate: 동물의 감정: 열정적인 본성 탐구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32682925_Animal_Emotions_Exploring_Passionate_Natures - 내셔널 지오그래픽 – 동물의 감정
https://www.nationalgeographic.com/animals/article/animals-science-medical-pain
동물은 어차피 죽임을 당하는데, 왜 식물성 식단을 따라야 합니까?
이미 매일 수백만 마리의 동물이 도살되고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핵심은 수요입니다. 우리가 동물성 제품을 구매할 때마다 업계에 더 많이 생산하라는 신호를 보내는 셈입니다. 이로 인해 수십억 마리의 동물이 더 태어나 고통받고 도살되는 악순환이 만들어집니다.
식물성 식단을 선택한다고 해서 과거의 피해를 되돌릴 수는 없지만, 미래의 고통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고기, 유제품, 계란 구매를 중단하는 사람 한 명당 수요가 줄어들어, 사육되고, 가두어지고, 도축되는 동물의 수가 줄어듭니다. 본질적으로, 식물성 식단을 선택하는 것은 앞으로 잔혹 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막는 방법입니다.
만약 우리 모두가 식물성 식단을 따른다면, 동물성 식품이 넘쳐나지 않을까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농장 동물은 축산업에 의해 인위적으로 번식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번식하지 않습니다. 육류, 유제품, 계란에 대한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번식되는 동물의 수는 줄어들 것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수는 자연스럽게 감소할 것입니다.
남은 동물들은 "넘어지는" 대신 더욱 자연스러운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돼지는 숲에서 뿌리를 내리고, 양은 언덕에서 풀을 뜯으며, 야생 동물처럼 개체 수가 자연스럽게 안정될 것입니다. 식물 기반 세계는 동물들이 인간의 소비를 위해 갇히고, 착취당하고, 죽임을 당하는 대신 자유롭고 자연스럽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합니다.
만약 우리 모두가 식물성 식단을 따른다면, 모든 동물이 멸종하지 않을까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사육되는 동물의 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면서 감소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오히려 긍정적인 변화입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육 동물들은 공포, 감금, 고통으로 가득 찬 통제되고 비자연적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햇빛이 들지 않는 실내에서 사육되거나, 자연적인 수명의 극히 일부만 남아 인간의 식용으로 죽도록 사육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육계나 칠면조와 같은 일부 품종은 야생 조상과 너무 많이 달라져 다리 장애와 같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겪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 점진적으로 사라지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 오히려 더 나을 수 있습니다.
식물 기반 세계는 자연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을 창출할 것입니다. 현재 가축 사료 재배에 사용되는 광활한 지역을 숲, 야생 동물 보호 구역, 또는 야생 동물 서식지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멧돼지나 야생 닭과 같은 가축의 야생 조상의 복원을 장려하여 산업 농업으로 인해 억제된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식물 기반 세계에서는 동물이 더 이상 이익이나 착취를 위해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 동물은 고통과 조기 사망에 갇히는 대신, 생태계에서 자유롭고 자연스럽고 안전하게 살 수 있을 것입니다.
좋은 삶을 살았고 인도적으로 죽임을 당한 동물을 먹는 것은 괜찮을까요?
이런 논리를 적용한다면, 선한 삶을 살았던 개나 고양이를 죽이고 먹는 것이 과연 용납될 수 있을까요? 다른 존재의 삶이 언제 끝나야 하는지, 또는 그들의 삶이 "충분히 선한" 삶이었는가를 우리가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이러한 주장들은 동물을 죽이는 것을 정당화하고 우리 자신의 죄책감을 덜기 위해 사용되는 변명에 불과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마음속 깊이 불필요하게 생명을 빼앗는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좋은 삶"이란 무엇일까요? 고통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요? 소, 돼지, 닭, 혹은 개나 고양이처럼 우리가 사랑하는 반려동물이든, 동물은 모두 강한 생존 본능과 삶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을 죽임으로써 우리는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 즉 생명을 앗아가는 것입니다.
전혀 불필요합니다. 건강하고 완전한 식물성 식단은 다른 생명체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도 우리의 모든 영양 필요를 충족시켜 줍니다. 식물성 생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은 동물의 엄청난 고통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건강과 환경에도 도움이 되어 더욱 따뜻하고 지속 가능한 세상을 만들어 냅니다.
물고기는 고통을 느낄 수 없으니, 왜 물고기를 먹지 않을까요?
과학적 연구는 물고기가 고통을 느끼고 고통받을 수 있음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산업적 어업은 엄청난 고통을 초래합니다. 물고기는 그물에 갇히고, 수면으로 끌어올려지면 부레가 터지고, 갑판에서 질식하여 서서히 죽습니다. 연어와 같은 많은 어종은 집약적인 양식으로 인해 과밀, 전염병, 기생충 감염 등의 피해를 입습니다.
물고기는 지능이 뛰어나고 복잡한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루퍼와 뱀장어는 사냥할 때 몸짓과 신호를 사용하여 소통하고 협력하며, 이는 고도의 인지 능력과 자각 능력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어업은 개별 동물의 고통을 넘어 환경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남획으로 일부 야생 어류 개체군의 최대 90%가 고갈되었고, 저층 트롤 어업은 취약한 해양 생태계를 파괴합니다. 어획된 물고기의 대부분은 사람이 먹지도 않고, 약 70%는 양식 어류나 가축 사료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양식 연어 1톤은 야생 어류 3톤을 소비합니다. 분명히 생선을 포함한 동물성 제품에 의존하는 것은 윤리적이지도 지속 가능하지도 않습니다.
식물성 식단을 채택하면 이러한 고통과 환경 파괴에 기여하지 않으면서도, 자비롭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모든 필수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베이슨, P. (2015). 동물 복지와 통증 평가.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003347205801277 - FAO – 2022년 세계 어업 및 양식업 현황
https://openknowledge.fao.org/items/11a4abd8-4e09-4bef-9c12-900fb4605a02 - 내셔널 지오그래픽 – 과잉 어업
www.nationalgeographic.com/environment/article/critical-issues-overfishing
다른 동물들은 먹이를 위해 살인을 저지르는데, 왜 우리는 그렇게 하지 말아야 할까요?
야생 육식동물과 달리 인간은 생존을 위해 다른 동물을 죽이는 데 의존하지 않습니다. 사자, 늑대, 상어는 다른 대안이 없기 때문에 사냥하지만, 우리는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는 의식적이고 윤리적으로 음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산업적 축산은 본능에 따라 행동하는 포식자와는 매우 다릅니다. 이는 이익을 위해 만들어진 인위적인 시스템으로, 수십억 마리의 동물들이 고통, 감금, 질병, 그리고 조기 사망을 견뎌내도록 강요합니다. 인간은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공급하는 식물성 식단을 통해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은 불필요합니다.
더욱이 식물성 식품을 선택하면 환경 파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축산업은 삼림 벌채, 수질 오염, 온실가스 배출, 그리고 생물 다양성 손실의 주요 원인입니다. 동물성 식품을 피함으로써 우리는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엄청난 고통을 예방하고 지구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다른 동물들이 생존을 위해 살생을 한다고 해서 인간도 똑같이 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에게는 선택권이 있으며, 그 선택에는 피해를 최소화할 책임이 따릅니다.
소에게 젖을 짜야 하지 않나요?
아니요, 소는 본래 사람이 젖을 짜줄 필요가 없습니다. 모든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소는 출산 후에만 젖을 생산합니다. 야생에서는 소가 새끼를 키우고, 번식과 우유 생산의 순환이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그러나 낙농업에서는 소가 반복적으로 임신되고, 송아지는 출생 직후 인간이 우유를 대신 먹을 수 있도록 빼앗깁니다. 이는 어미와 송아지 모두에게 엄청난 스트레스와 고통을 안겨줍니다. 수컷 송아지는 송아지 고기로 도살되거나 열악한 환경에서 사육되는 경우가 많고, 암컷 송아지 역시 같은 착취의 악순환에 갇히게 됩니다.
식물성 식단을 선택하면 이러한 시스템을 지탱하는 것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인간은 건강을 위해 유제품을 섭취할 필요가 없습니다. 모든 필수 영양소는 식물성 식품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식물성 식단을 선택함으로써 우리는 불필요한 고통을 예방하고 소들이 착취에서 자유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며, 임신, 분리, 착유라는 부자연스러운 순환을 강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어차피 닭은 알을 낳잖아요. 뭐가 문제죠?
암탉이 자연적으로 알을 낳는 것은 사실이지만, 사람들이 상점에서 사는 계란은 거의 자연적으로 생산되지 않습니다. 산업적인 계란 생산 과정에서는 암탉을 빽빽하게 가두고, 외부 활동이 금지되는 경우가 많으며, 자연스러운 행동이 심각하게 제한됩니다. 부자연스럽게 높은 산란율을 유지하기 위해 강제로 사육하고 조종하는데, 이는 스트레스, 질병, 그리고 고통을 유발합니다.
알을 낳을 수 없는 수컷 병아리는 부화 직후 분쇄나 질식사 등 잔혹한 방법으로 도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란 산업에서 살아남은 암탉조차도 생산성이 떨어지면 도축되는데, 자연 수명은 훨씬 길지만 대개 1~2년 만에 도축됩니다.
식물성 식단을 선택하면 이러한 착취 시스템을 지탱하는 것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인간은 건강을 위해 계란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계란에 함유된 모든 필수 영양소는 식물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식물성 식단을 선택함으로써 우리는 매년 수십억 마리의 닭이 겪는 고통을 예방하고, 강제 번식, 감금, 그리고 조기 사망으로부터 자유롭게 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양털을 깎을 필요가 없나요?
양은 자연적으로 털을 자라게 하지만, 사람의 손길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양은 수 세기 동안 야생 조상보다 훨씬 많은 털을 생산하도록 선택적으로 개량되어 왔습니다. 자연적으로 그대로 두면 털은 관리 가능한 속도로 자라거나, 아니면 자연스럽게 털갈이를 하게 됩니다. 산업적인 양 사육은 털을 과도하게 자라게 하여 감염, 이동성 문제, 과열과 같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인간의 개입 없이는 생존할 수 없는 동물을 만들어냈습니다.
"인도적인" 양모 농장에서도 털깎기는 스트레스가 많으며, 종종 성급하거나 안전하지 않은 환경에서 수행되고, 때로는 양을 거칠게 다루는 노동자들에 의해 수행됩니다. 양모 생산을 지속하기 위해 수컷 양은 거세되고, 꼬리는 잘리고, 암양은 강제로 임신되기도 합니다.
식물 기반 생활 방식을 선택하면 이러한 관행을 지지하지 않아도 됩니다. 양모는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것이 아닙니다. 면, 대마, 대나무, 재활용 섬유처럼 지속 가능하고 동물 학대를 하지 않는 수많은 대안이 있습니다. 식물 기반 생활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우리는 이윤을 위해 사육되는 수백만 마리의 양들의 고통을 줄이고 자유롭고 자연스럽고 안전하게 살 수 있도록 합니다.
하지만 저는 어차피 유기농, 방목해서 키운 고기, 유제품, 계란만 먹습니다.
"유기농" 또는 "방사 사육"으로 키운 축산물은 고통이 없다는 것은 흔한 오해입니다. 최고의 방사 사육 농장이나 유기농 농장에서도 동물들은 여전히 자연스러운 삶을 살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수천 마리의 암탉이 외부 접근이 제한된 우리에 갇혀 사육됩니다. 계란 생산에 쓸모없다고 여겨지는 수컷 병아리는 부화 후 몇 시간 만에 도살됩니다. 송아지는 출생 직후 어미와 분리되며, 수컷 송아지는 우유를 생산하지 못하거나 고기에 적합하지 않아 도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돼지, 오리, 그리고 다른 가축들도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없으며, 결국 생명을 유지하는 것보다 도살하는 것이 더 이익이 될 때 도살됩니다.
동물들이 공장식 축산보다 조금 더 나은 생활 환경을 "가질 수" 있다 하더라도, 그들은 여전히 고통받고 조기에 죽습니다. 방목이나 유기농 라벨이 근본적인 현실을 바꾸지는 않습니다. 이 동물들은 오로지 인간의 소비를 위해 착취되고 도살되기 위해 존재합니다.
환경적 현실도 있습니다. 유기농이나 방목 육류에만 의존하는 것은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식물성 식단보다 훨씬 더 많은 토지와 자원이 필요하며, 널리 채택되더라도 결국 집약적 농업 방식으로 돌아갈 것입니다.
진정으로 일관되고 윤리적이며 지속 가능한 유일한 선택은 고기, 유제품, 계란 섭취를 완전히 중단하는 것입니다. 식물성 식단을 선택하면 동물의 고통을 피하고, 환경을 보호하며, 건강을 증진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을 타협 없이 달성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나 개를 채식주의자로 만들어야 할까요?
네. 적절한 식단과 보충제를 섭취하면 식물성 식단으로도 개와 고양이의 영양 요구 사항을 충분히 충족할 수 있습니다.
개는 잡식성 동물이며 지난 1만 년 동안 인간과 함께 진화해 왔습니다. 늑대와 달리 개는 아밀라아제와 말타아제 같은 효소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탄수화물과 전분을 효율적으로 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는 장내 미생물군에 식물성 식품을 분해하고 육류에서 얻는 아미노산을 생성할 수 있는 박테리아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균형 잡힌 식물성 식단을 섭취하면 개는 동물성 식품 없이도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는 육식동물이기 때문에 타우린, 비타민 A, 특정 아미노산 등 육류에 자연적으로 함유된 영양소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특별히 제조된 식물성 고양이 사료는 식물성, 미네랄, 합성 원료를 통해 이러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공장식 축산에서 생산된 참치나 소고기를 고양이에게 먹이는 것보다 더 "부자연스러운" 일이 아닙니다. 공장식 축산은 질병 위험과 동물 고통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 계획되고 보충된 식물성 식단은 개와 고양이에게 안전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육류 기반 식단보다 더 건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산업적 축산에 대한 수요를 줄여 지구에도 도움이 됩니다.
참고자료:
- Knight, A., & Leitsberger, M. (2016). 비건 vs. 육류 기반 반려동물 사료: 리뷰. Animals (Basel).
https://www.mdpi.com/2076-2615/6/9/57 - Brown, WY 외 (2022). 반려동물을 위한 비건 식단의 영양적 적절성. 동물과학 저널.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860667/ - 비건 협회 - 비건 반려동물
https://www.vegansociety.com/news/blog/vegan-animal-diets-facts-and-myths
만약 모든 사람이 식물성 식단을 채택한다면, 닭, 소, 돼지를 어떻게 할 것인가?
변화는 하룻밤 사이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식물성 식단으로 전환함에 따라 육류, 유제품, 계란에 대한 수요는 점차 감소할 것입니다. 농부들은 가축 사육을 줄이고 과일, 채소, 곡물 재배와 같은 다른 형태의 농업으로 전환함으로써 이에 대응할 것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는 감금과 고통 속에서 태어나는 동물의 수가 줄어들 것임을 의미합니다. 살아남는 동물들은 더욱 자연스럽고 인도적인 환경에서 살 기회를 얻게 될 것입니다. 갑작스러운 위기가 아닌, 식물성 식단으로의 전 세계적인 전환은 동물, 환경, 그리고 인간의 건강에 이로운 점진적이고 지속 가능한 전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꿀을 먹는 게 뭐가 문제야?
많은 상업적 양봉 관행이 벌에게 해를 끼칩니다. 여왕벌은 날개가 잘리거나 인공 수정될 수 있으며, 일벌은 취급 및 운송 중에 죽거나 다칠 수 있습니다. 인간은 수천 년 동안 꿀을 채취해 왔지만, 현대의 대규모 생산 방식은 벌을 마치 공장식 축산 동물처럼 취급합니다.
다행히도 꿀벌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단맛을 즐길 수 있는 식물성 대체 식품이 많이 있습니다. 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쌀 시럽 – 익힌 쌀로 만든 순하고 중성적인 감미료입니다.
당밀 – 사탕수수나 사탕무에서 추출한 걸쭉하고 영양이 풍부한 시럽입니다.
수수 – 약간 시큼한 맛이 나는 천연 단맛의 시럽입니다.
수카나트 – 풍미와 영양소를 위해 천연 당밀을 보존한 정제되지 않은 사탕수수 설탕입니다.
보리 맥아 – 싹이 난 보리로 만든 감미료로, 종종 빵 굽기와 음료에 사용됩니다.
메이플 시럽 – 단풍나무 수액으로 만든 고전적인 감미료로, 풍부한 맛과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유기농 사탕수수 설탕 – 유해한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가공한 순수 사탕수수 설탕.
과일 농축액 – 농축된 과일 주스로 만든 천연 감미료로 비타민과 항산화제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대안을 선택하면 꿀벌에 대한 피해를 피하고 더욱 자비롭고 지속 가능한 식량 시스템을 지원하면서 식단에서 단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왜 나를 탓해요? 나는 그 동물을 죽이지 않았잖아요.
당신을 개인적으로 비난하려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선택이 살인을 직접적으로 부추긴다는 것입니다. 고기, 유제품, 계란을 살 때마다 누군가에게 돈을 주고 생명을 빼앗는 셈입니다. 그 행위가 당신의 것이 아닐 수도 있지만, 당신의 돈이 그 행위를 가능하게 합니다. 식물성 식품을 선택하는 것이 이러한 해악에 대한 자금 지원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유기농이나 지역에서 생산된 고기, 우유, 계란 등 지속 가능하고 윤리적인 축산을 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유기농이나 지역 농업이 더 윤리적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축산업의 핵심 문제는 여전히 동일합니다. 식용으로 동물을 사육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자원 집약적입니다. 사람이 직접 소비하는 식물을 재배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토지, 물,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최고의" 농장조차도 여전히 상당한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삼림 벌채에 기여하며, 폐기물과 오염을 유발합니다.
윤리적인 관점에서 볼 때, "유기농", "방목", "인도적"과 같은 라벨은 동물들이 자연수명을 다하기 훨씬 전에 사육되고, 통제되고, 결국 도축된다는 현실을 바꾸지 않습니다. 삶의 질은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그 결과는 언제나 동일합니다. 착취와 도축입니다.
진정으로 지속 가능하고 윤리적인 식량 시스템은 식물을 기반으로 합니다. 식물성 식품을 선택하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자원을 보존하며, 동물의 고통을 피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지속 가능하다"고 홍보하더라도 축산업은 결코 이러한 이점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